책을 쓰는 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일이지만, 막상 출판을 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기존 출판사와 계약하지 않고 직접 책을 출판하는 '자비출판'을 선택하면 더더욱 그렇죠. 돈이 많이 들 것 같고, 유통은 어떻게 해야 할지, ISBN은 뭔지 등 생소한 용어들도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요즘은 플랫폼도 다양하고, 초보 작가를 위한 서비스도 잘 갖춰져 있어 처음 도전하는 사람도 충분히 가능한 출판 방식이 자비출판입니다. 이 글에서는 자비출판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꿀팁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도서출판, 어렵지 않아요! 처음 하는 자비출판 꿀팁 모음
자비출판이란? 내 책을 내가 출간하는 방식
자비출판은 말 그대로 작가 본인이 출판 비용을 부담해 직접 출간하는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출판 계약과는 다르게 출판사로부터 ‘선택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용이 대중적이지 않더라도 출판이 가능합니다. 에세이, 시집, 연구서, 사진집 등 다양한 장르에서 자주 활용되고 있어요.
특히 자신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사람, 소수 독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내용을 가진 분들에게 적합한 방식입니다. 출판 후 소량만 인쇄해 배포할 수도 있고, 전자책 형태로 유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기획부터 인쇄까지, 순서만 알면 어렵지 않아요
자비출판은 대부분 아래와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원고 작성 → 교정 및 편집 → 디자인(표지+내지) → ISBN 등록 → 인쇄 → 유통
요즘은 원스톱으로 자비출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많아졌습니다. 리디셀렉트, 부크크, 퍼블로그, 텀블벅 등에서는 작가가 기획만 하면 나머지를 대행해주는 시스템도 운영하고 있어, 시간을 줄이고 결과물의 퀄리티도 보장받을 수 있죠.
단, 교정/교열은 대행보다 직접 꼼꼼히 체크하거나 전문가 프리랜서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은 오타 하나도 책의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에요.
자비출판의 가장 큰 장점: 자유도
자비출판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책을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제목부터 표지 디자인, 책 크기, 인쇄 방식, 심지어 글꼴까지 전부 직접 정할 수 있어요. 이 점은 기존 출판사에서는 거의 불가능하죠.
특히 독립 출판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디자인 감각이 돋보이는 소량 인쇄 책들도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SNS나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통해 독자와 직접 소통하며 판매하는 방식도 점점 보편화되고 있어요.
비용은 얼마나 들까?
가장 궁금한 부분일 텐데요. 자비출판 비용은 인쇄 부수와 서비스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100부 소량 인쇄 기준으로 보면:
- 기본 편집·디자인 + 인쇄: 약 100만 원 전후
- 전자책만 제작 시: 약 10만~30만 원
- 셀프 출판 플랫폼 이용 시: 무료 제작도 가능, 인쇄·판매 시 수수료 발생
실물 책이 꼭 필요하지 않다면 전자책만으로도 저렴하게 시작해볼 수 있고, 필요 시 인쇄 옵션을 추가하는 유연한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ISBN, 국립도서관 납본? 절차도 어렵지 않아요
ISBN은 책의 고유번호로, 서점 유통을 원한다면 필수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 ISBN센터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전자책도 신청 가능합니다.
또한 완성된 책은 국립중앙도서관에 2권 납본해야 하는 의무가 있어요. 이는 법적 절차지만 자비출판 작가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대신 이 과정을 마치면 공식 출판물로 등록된다는 의미라 출판 이력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처음이라도 괜찮아요, 자비출판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자비출판은 부담스러운 상업성 없이도 자신만의 이야기를 세상에 꺼내놓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필요한 건 거창한 글솜씨보다 ‘책을 만들고 싶다’는 진심 하나뿐이죠. 요즘은 플랫폼과 서비스가 잘 갖춰져 있어 혼자서도 얼마든지 도전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글을 쌓아온 블로거나 작가 지망생, 내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분, 기존 출판사 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출판하고 싶은 분이라면 자비출판은 충분히 고려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블로그 사용자라면 꼭 알아야 할 신고 방법 (0) | 2025.04.10 |
---|---|
산불로 인한 물가 상승, 소비자 체감은? (0) | 2025.04.09 |
인스타그램에서 언급된 게시물 분석 트렌드와 통찰 (0) | 2025.04.07 |
헤트라스 디퓨저, 어떤 향이 인기일까? (0) | 2025.04.07 |
동영상 합치기 간단한 무료 툴 소개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