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에는 습도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실내 화분 흙 위에 하얀 곰팡이가 생기거나, 화분 주변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곰팡이는 보기만 안 좋은 게 아니라 식물 뿌리의 건강을 해치고, 실내 공기까지 오염시킬 수 있습니다.
식물 키우기를 즐기는 분이라면 특히 장마철은 화분 건강 관리가 가장 어려운 시기입니다. 단순히 물을 줄이지 않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통풍, 환기, 흙 관리까지 종합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실내 화분 곰팡이 방지하는 환기 및 관리법
환기 부족이 곰팡이 번식의 주요 원인
장마철엔 비 때문에 창문을 자주 열지 못하면서, 실내 공기가 정체되고 화분 주변 습기가 빠지지 않는 환경이 됩니다. 이 상태에서 흙이 젖은 채로 며칠만 지나면 곰팡이 포자가 번식하게 됩니다.
비 오는 날이라도 하루에 한두 번은 대각선 방향으로 창문을 열어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특히 화분이 많은 공간에는 서큘레이터나 선풍기를 활용해 공기를 인위적으로 움직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기가 어렵다면 탈습제나 제습기를 식물 주변에 집중 배치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흙 겉면 마르지 않게 덮어두는 건 금물
장마철에는 흙의 수분 증발이 느려지기 때문에, 화분 겉흙이 젖은 채로 오래 유지되면 곰팡이와 해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마사토나 펄라이트처럼 배수가 잘되는 소재로 겉흙을 교체하고, 멀칭(표면 덮개)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젖은 흙을 손으로 눌러 다지는 행동은 수분이 더 오래 남게 해 곰팡이를 유도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겉흙 위에 하얀 곰팡이가 보이면 바로 제거하고, 해바라기씨 껍질, 계피가루 등 천연 항균재를 살짝 뿌려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물 주기 줄이기보다는 ‘확실히 말린 후 주기’
장마철에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무조건 물 주기를 줄이게 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말랐는지 확인한 후 주는 습관’입니다.
손가락을 흙에 2~3cm 정도 넣어보아 촉촉함이 느껴지지 않으면 그때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막대기나 젓가락을 흙에 찔러보아 젖어 나오지 않으면 물을 주는 식의 방법도 실용적입니다.
물은 한 번 줄 땐 화분 바닥에서 배수구로 물이 빠질 정도로 충분히 주되, 빈도는 평소보다 줄이는 방식이 가장 안전합니다.
장마철엔 분갈이나 흙 교체는 피하기
장마철엔 공기 중 곰팡이 포자가 많아 분갈이나 흙 교체를 할 경우 오히려 감염 위험이 커집니다. 흙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 식물을 분리하거나 뿌리를 건드리면 손상이 쉽게 발생하고, 그 틈으로 병균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교체해야 할 경우엔 바람이 잘 통하는 날, 해가 잠시 나는 날을 택하고, 흙은 사용 전 햇빛에 말려 소독하거나 전자레인지로 3~5분간 소독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곰팡이가 생겼다면 조기 제거가 핵심
이미 흙 표면에 하얀 곰팡이가 피었을 경우엔 곧바로 제거하고 과산화수소(3%) 희석액으로 흙 표면을 가볍게 적셔주는 방식이 좋습니다. 이는 흙 속 산소 공급도 도와 식물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줍니다.
단,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뿌리 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한 달에 1~2회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 화분 곰팡이, 습기와 통풍이 핵심입니다
장마철 화분 곰팡이는 흙 속 수분과 공기 정체로 인해 쉽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미리 환기와 배수, 물 주기만 관리해도 곰팡이 발생을 충분히 막을 수 있습니다.
실내 식물 수가 많은 집, 환기가 어려운 구조의 공간, 혹은 화분을 선물로 많이 받은 분이라면 이 시기만큼은 ‘보기 좋은 화분’보다 ‘건강하게 유지되는 화분’을 위한 관리가 우선이어야 합니다.
'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철 차량 배터리 방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0) | 2025.05.05 |
---|---|
선풍기로 환기하는 방법과 주의사항 (1) | 2025.05.05 |
선풍기를 위쪽으로 틀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0) | 2025.05.05 |
에어컨 바람 방향, 어떻게 설정해야 효율적일까? (0) | 2025.05.05 |
장마철 차량 브레이크 이상, 미리 예방하는 팁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