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팁

24K·18K 금값 한돈 시세, 살 때 팔 때 가격 한눈에 정리 (2025 최신)

금값 한돈 시세

금값이 다시 오르면서 “지금 금 한돈 얼마일까?”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24K 순금과 18K 금은 시세 차이가 크기 때문에, 구매 시점에 따라 손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 현재 금값 흐름과 한돈 기준 시세, 그리고 살 때·팔 때의 실제 가격 차이를 함께 정리했습니다.

24K·18K 금값 한돈 시세, 살 때 팔 때 가격 한눈에 정리 (2025 최신)

2025년 현재 금 한돈 시세 현황

2025년 10월 기준, 국제 금 시세가 온스당 2,500달러를 넘어서면서 국내 금값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순금(24K) 한돈 시세는 약 75만~77만 원, 18K 금은 약 55만~57만 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어요.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10% 이상 오른 수치로,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금값 상승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살 때 가격 (매입가) 팔 때 가격 (매도 시) 비고
24K 순금 (99.9%) 약 76만 원 약 74만 원 시세 변동 폭 큼
18K 금 (75%) 약 56만 원 약 53만 원 세공비 영향 큼
14K 금 (58.5%) 약 44만 원 약 41만 원 패션 주얼리용 많음

※ 시세는 금시세 협회 및 주요 금거래소(서울 강남 기준) 평균가 기준이며, 일자별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24K와 18K의 차이, 왜 가격이 다를까?

24K는 순도 99.9%의 순금으로, 가장 가치가 높고 변색이 없습니다. 반면 18K 금은 금 함량이 약 75%로, 나머지 25%는 은·구리 등이 섞여 있어 색상과 단단함이 다릅니다. 주얼리로 제작할 때는 18K가 내구성이 높아 선호되지만, 투자용으로는 24K가 훨씬 유리합니다. 즉, 팔 때 가격을 고려하면 순금이 환금성이 높고 감가가 적습니다.

반응형

금을 살 때·팔 때 주의할 점

금값은 매입가(구매 시)와 매도 시세(판매 시)가 다릅니다. 보통 거래소마다 1~2만 원 정도의 차익 폭이 존재하며, 세공비나 부가세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순금 골드바나 돌반지 등은 세공비가 포함되어 있어 판매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 목적이라면 ‘세공 없는 골드바’가 유리합니다.

또한, 온라인 금 거래소나 모바일 금테크 앱(예: 하나금테크, 한국금거래소 앱 등)을 이용하면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고 0.1g 단위로 거래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금값 상승 흐름 속, 24K 실물 투자가 유리하다

2025년에도 금값은 고공행진 중입니다. 미국 금리 정책, 달러 강세, 지정학적 불안 등 요인으로 금은 여전히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습니다. 단기 시세 등락에 흔들리기보다는, 장기 보유 관점의 금테크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실물 24K 순금은 환금성과 가치 보존력 모두에서 가장 안정적인 선택입니다.

자주 하는 질문과 답변

Q1. 지금 금을 사는 게 좋을까요, 기다려야 할까요?
답변: 장기적 관점에서는 금은 꾸준히 상승 추세입니다. 단기 차익보다는 보유 목적이 유리합니다.

Q2. 18K 금은 투자용으로 적합하지 않나요?
답변: 세공비가 포함되어 감가가 크기 때문에, 투자보다는 액세서리 용도로 적합합니다.

Q3. 금거래소마다 가격 차이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 금시세는 국제 시세에 연동되지만, 세공비·수수료·부가세 차이로 실제 거래가는 다를 수 있습니다.